대한응급의학의사회 가입하기

로그인

의료자원이 집중된 서울에서 5세 아이가 입원 병실을 찾지 못해 끝내 숨지는 일이 발생하자 논란이 일고 있다. 하지만 의료 현장에서는 예견된 일로, 그동안 수없이 내보낸 '경고음'을 무시한 결과라는 지적이 나왔다. 소아 환자를 볼 시설과 인력 부족으로 인한 ‘소아의료 재난’이 현실화 됐다는 것이다.

어린이날 연휴였던 지난 6일 밤 서울 군자동에서 5살 아이가 고열에 호흡이 가빠져 119 구급대가 출동했고 가까운 대학병원 4곳을 전전했지만 진료를 받을 수 없었다. 병상이 없었고 진료를 할 수 있는 의료진이 없었기 때문이다. 입원 없이 진료만 받겠다는 조건으로 향한 다섯 번째 병원에서 ‘급성 폐쇄성 후두염’으로 진단돼 치료를 받고 귀가했지만 상태는 악화됐고 인근 응급실에 도착한 지 40여분 만에 결국 숨졌다.

소아응급의료 현장에서는 최근 소아 호흡기바이러스 환자가 급증한 데다 소아환자를 볼 시설과 인력은 급감한 상황이 운 나쁘게 맞물려 소아의료 재난 상황이 됐다고 지적했다.

대한소아응급의학회 김도균 총무이사(서울대병원)는 17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의료 현장은 여러 가지 문제가 혼재돼 있는 상황이다. 최근 호흡기바이러스가 돌면서 소아응급실 방문 환자가 급증했는데 이들을 치료할 시설이나 인력은 과거에 비해 반 이상 줄었다”며 “시설이나 의사가 이전 수준 정도여도 힘들게 봤을 텐데 그보다 더 줄어든 상황에 환자가 늘었으니 정말 힘든 상황이 된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무이사는 “대한민국에 소아청소년과가 생기고 이렇게 소아 환자 진료가 안 되고 어려웠던 적은 없었을 것”이라고 한숨을 쉬었다.

서울에서도 소아 환자 입원 병상 찾기가 어려운 배경에는 지방 대학병원 소아진료 붕괴가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복잡한 질환이나 손이 많이 가는 소아 환자들의 서울 유입이 점차 늘고 있다는 것이다.

김 총무이사는 “어린이병원 의료진과 이야기 나눠보면 지방에서 자꾸 환자를 보낸다고 한다. 2~3년 사이 소청과 전공의가 아예 없다시피 하니 진료가 안 되는 것”이라며 “복잡한 질환이나 손이 많이 가는 소청과 환자는 입원치료가 제대로 안 되다보니 자꾸 서울로 의뢰를 한다”고 말했다.

김 총무이사는 “어린이병원 중 배후 진료가 되는 곳들은 병실이 꽉 찼다. 아동병원 조차 급성기 환자들로 정신이 없고 기존 소아 의료 역량으로는 충족이 안 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더욱이 환자는 늘고 시설과 의료진은 줄었으니 오죽 하겠나. 이런 게 재난”이라고 했다.

정부도 소아의료 재난 상황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긴급 자원 투입 등을 통해 소아환자 치료 인프라 강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김 총무이사는 “급히 자원을 투입해야 한다. 의료진과 시설 강화가 우선”이라며 “소아응급실 수요도 줄여야 한다. 응급실 이용 환자 중 경증환자의 이용은 성인보다 소아가 훨씬 많다. 경증환자 진료를 제한해 심하게 아프고 복잡하고 손이 많이 가는 아이들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국민 인식 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했다.

"위험부담 큰 소아 진료, 책임까지 져야 하는 구조에 기피"

대한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은 의료 현장에서 울리는 ‘경고음’을 무시한 결과라고 했다. 이슈가 생길 때마다 내놓는 ‘땜질식 처방’과 ‘책임 묻기’가 위험부담이 큰 소아 환자 진료를 기피하는 풍토를 만들었다고도 했다.

이 회장은 “이전에도 병원을 전전하다 환자가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지만 최근 들어 소아 진료 상황이 더 나빠지긴 했다”며 “특히 소아는 성인 환자와 질병 양상이 다르고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이 훨씬 많이 발생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길 소지가 너무 커서 병원에서 꺼리는 게 사실이다. 진료 여건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곳은 더욱 그렇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부족하니) 응급의학과에서 소아 환자를 봐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도 하는데 환자를 보는 게 어려운 게 아니다. 응급처치를 한 다음이 문제”라며 “응급처치를 한 후 입원 치료 같은 배후 진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상태가 악화되면 책임까지 져야 하는 상황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같은 우려는 소아 진료 기피로 이어지고 상황은 더 나빠질 수밖에 없다는 게 이 회장의 지적이다.

이 회장은 “언론에 이번 사건과 같은 보도가 나올 때마다 부모들 사이에서는 ‘우리 아이도 제때 치료를 못 받는 것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커지고 응급실을 찾는 경증 소아 환자는 더 늘어난다”며 “낮에 병원 진료를 받았지만 밤에 열이 더 나는 것 같으면 아침까지 기다리지 않고 응급실을 찾는다.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도 했다.

그는 “심층 분석을 통해 원인을 제대로 진단하고 대안을 찾기보다는 그저 무책임하게 의사를 늘리면 된다는 결론으로 밖에 가지 않는다”며 “이런 상황에서 의사를 늘린다고 필수의료 분야를 전공하는 의사도 늘겠느냐. 갈등만 커지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소청과醫 "소청과 전문의 20% 성인 환자 진료"

'폐과' 선언까지 하며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는 지속적인 소아 환자 진료 인프라 개선 요구에도 보건복지부가 무성의한 대책으로 일관했다며 조규홍 장관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소아청소년과의사회는 “우리나라 유·소아청소년 의료 인프라가 근본부터 붕괴중이라고 시급하게 현장 상황에 맞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누누이 얘기해 왔음에도 복지부는 현실성 없고 현장 상황을 악화시키는 의료 대책을 내놨다”며 “현장 상황을 너무나 잘 아는 소청과 전문의들이 목 놓아 외쳐도 일방적인 정책을 강행해 왔다”고 말했다.

소청과의사회는 “소청과 전문의 자격을 갖고도 성인을 대상으로 일할 수밖에 없는 소청과 전문의가 20%에 달한다”며 의대 정원 확대나 소아청소년 환자 비대면 진료, 달빛어린이병원은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소청과의사회는 “무능하기 그지없는 조 장관과 실국장들은 더 이상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폐 끼치지 말고 즉각 사퇴하라”면서 “지금 이 순간에도 숨져가고 있는 아이들에게 최소한 책임지는 모습일 것”이라고 했다.

출처 : 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