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Jun
잇따른 '응급실 뺑뺑이' 사고에 의사단체 "의료진 희생양 삼지말라"
"상급병원 과밀화 해결…경증환자 응급실 이용 자제해야"
응급환자가 구급차를 타고 병원을 전전하다 숨지는 사고가 최근 잇따르자 응급의학과 의사들이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요구하고 나섰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31일 "중증외상환자라면 최소한 중환자실과 응급외상수술팀이 갖춰져야 응급실에 받을 수 있다. 무조건 가까운 응급실에 빨리 환자를 내려놓는 게 올바른 해결책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의사회는 "'응급실 뺑뺑이'의 원인은 의뢰한 병원의 배후진료능력 부족 때문으로, 그 환자를 치료할 만큼의 의료자원이 그 시간 그 장소에 없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응급의료진들을 희생양 삼아 공분을 돌린다고 예방가능한 응급, 외상환자 사망률이 떨어지진 않을 것"이라며 "선의로 행한 응급의료조차 치료결과가 나쁠 경우 민·형사 소송을 감내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의사회는 "이송문의 거절에 대한 언론재판과 실제 법적 처벌까지 가시화될 때 응급의료진들의 이탈은 가속화되고 응급의료는 붕괴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의사회는 중증응급환자가 더 많은 치료 기회를 가지려면 △상급병원 과밀화 해결 △경증환자 119 이송 및 응급실 이용자제 △취약지 응급의료 인프라 확충 △비정상적인 이용행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30일 경기 용인에서 후진 차량에 치인 70대 남성이 수술 가능 병원의 중환자실을 찾다가 2시간 여만에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3월에는 대구의 한 건물에서 추락한 10대가 구급차를 탔고, 병원을 찾다가 숨지는 일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지난 4일 환자 수용을 거부한 의료기관에 보조금 지급 중단 등 행정처분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