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경증 환자를 빼서라도 중증 환자 배정 의무화”
“컨트롤타워를 통해 원스톱 이송 시스템 구축” 응급의사회 “응급환자 제대로 치료받는 환경 조성돼야”
국민의힘과 정부는 31일 응급환자가 병원 중환자실을 찾아 헤매다 숨지는 ‘응급실 뺑뺑이’ 사건의 재발을 막고자 지역 응급의료 상황실을 설치해 원스톱 이송 시스템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당정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경기도 용인에서 70대 남성이 응급 수술이 가능한 종합 병원을 찾지 못해 구급차 안에서 숨진 일과 관련, 긴급 협의회를 열고 응급의료 대책을 재점검했다.
국민의힘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응급실 뺑뺑이 상황이 계속되는 근본 원인으로 수술 의사와 중환자실 병상 부족과 70%에 이르는 경증 환자로 인한 응급실 단일화, 구급대와 의료기관 간의 정보 공유 체계 부족 등 세 가지를 선정하고, 이를 보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 의장은 “당정은 원스톱 응급 이송 시스템과 관련해 빈 병상과 집도의 등 의사 현황 등을 우선 환자 이송 출발 단계에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며 “컨트롤타워로서 지역 응급 의료 상황실을 설치해 병원별 가용자원을 기초로 중증 환자 이송과 정원을 지휘 관제하고, 이를 통해 이송할 때 병원을 수용을 의무화하도록 했다”고 전했다.
이어 “병상이 없을 때는 경증 환자를 빼서라도 배정을 확보할 수 있게 의무화하기로 했고 외과 의사가 비번일 때 집도하면 응급 의료기금을 통해 추가 수당 지급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권역별 응급의료센터에 경증 환자 진료를 제한해 구급대는 경증 환자를 지역 응급 기관 이하로만 이송하는 걸 원칙으로 하고 권역별 응급센터는 응급실 진료 전에 중증도를 분류해 경증 응급환자는 수용하지 않고 하위 종별 응급기관에 분산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응급의학과 의사들은 중증 응급환자가 더 많은 치료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응급의사회)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응급실 뺑뺑이의 원인은 의뢰한 병원의 배후 진료 능력 부족 때문으로 환자를 치료할 만큼의 의료자원이 없었다는 의미”라며 “아무리 (구급대가) 환자를 응급실에 빨리 이송해도 중증 응급환자가 제대로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는 이상 지금과 같은 문제가 반복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응급의사회는 “중증외상 환자라면 최소한 중환자실과 응급외상 수술팀이 갖춰져 있어야 응급실에서 받을 수 있다”면서 “이런 상황을 무시한 채 무조건 가까운 응급실에 빨리 환자를 내려놓는 것이 올바른 해결책은 아니다”고 꼬집었다.
또 “중증 환자가 더 많은 치료의 기회를 얻기 위해 취약지 응급의료 인프라 확충, 비정상적인 응급실 이용 행태 개선 등이 필요하다”면서 “상급종합병원 과밀화 문제 해결을 위한 실무 논의체를 구성하고 경증 환자 119이송 금지와 상급병원 경증 환자 이용 금지 특별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출처 : 더리포트(https://www.therepor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