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응급의학의사회 가입하기

로그인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 연이은 응급환자 사망 대책으로 정부-여당이 내놓은 당정협의 결과에 대해 이형민 응급의학의사회 회장은 현장을 모르는 결과라고 지적했다.


지난 5월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을 당정협의를 통해 응급의료 추가대책을 내놨다. 먼저 이송시 정보공유체계 부족과 응급실 과밀화를 위한 대책에 머리를 맞댔다고 밝혔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원스톱 응급의료시스템과 관련해서 빈병상과 집도의 등 자원현황을 우선적으로 환자 이송 출발 단계부터 확인가능하도록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여당은 컨트롤 타워로 지역응급의료상황실을 설치해 환자 중증도와 병원별 가용자원 현황을 기초로 이송과 전원을 지휘관제하고, 지역응급의료상황실을 통한 이송시 해당병원의 수용을 의무화하도록 했다.

아울러 병상이 없는 경우 의무적으로 경증환자를 빼서라도 응급환자 배정 병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권역응급의료센터와 권역외상센터의 종합상황판 정보를 정확하게 개선하기 위해 정보관리인력을 추가로 지원할 것이라고 박 위의장은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권역응급의료센터에 경증응급환자 진료를 제한하는 특단의 대책을 펼 것이라고 정부-여당은 밝혔다.

그러나 현장 의료진의 반응은 차가웠다. 이형민 응급의학의사회 회장은 의학신문과의 통화에서 “이송병원의 수용을 의무화 한다는 것인데, 일단 응급실 자리가 비어있으면 보내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그다음에 누가 책임을 지고, 누가 수술을 하느냐 등의 디테일은 고려하지 않은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이 회장은 “배후의료진, 해당 응급의료기관 중환자실의 상황, 비어있는 병상의 종류 이런 정보를 누군가는 실시간으로 정보를 보내야 의미가 있다”며 “그럼 응급실에서 의료진의 일이 더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내준 정보가 정확한지도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비어있는 병상이라는 것이 수술하고 들어올 자리인지, 응급실 환자가 올라가야 할 자리인지, 아니면 그냥 비어있는 자리인지 불분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그런 세부 정보를 따지지 않고 단순히 비어있는 병상이라고 환자를 보내겠다는 것은 현장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라고 이 회장은 지적했다.

아울러 이형민 회장은 “경증환자도 다 같은 경증환자가 아니다. 본인이 경증인 줄 알면서도 갈데가 없어서 오는 사람들을 줄일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데 무조건 경증환자를 줄이겠다는 방안은 아쉽기만 하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등은 5월말부터 '응급의료 전달체계 개편 협의체'를 구성해 의료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이형민 회장은 “보건복지부가 협의체를 만든다고도 했고, 의사협회에서도 TFT를 만들겠다고 양쪽에서 들었다. 그런데 두 개가 합쳐서 하나의 TF로 출범한다는 공문을 5월 31일 받았다”며 “그러나 큰 기대는 없다. 논의구조 자체가 연관된 6~7개과를 모아서 회의를 하는 것인데, 결론이 나오기 쉽지 않은 구조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회장은 “31일 당정협의도 있는지 솔직히 전달받지 못했다. 긴급이라고 하지만 의료단체 전문가들을 배석해 진행했으면 좋았을텐데 그러지 못해 아쉽다”고 덧붙였다.

이재원 기자 jwl@bosa.co.kr


출처 : 의학신문(http://www.bosa.co.kr)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