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 예산 증액에 법안 발의도…응급의학과 기대감
중앙응급의료센터 예산 두 배 증액, 독립 '컨트롤타워' 첫걸음 응급의학醫 "응급 비롯한 필수의료 예산 증액 기조 이어지길"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응급의료 관련 내년도 예산 정부안 증액에 응급의학과가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응급의료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뒤 이뤄진 논의가 현장에서 추진되기 위해선 예산 투입이 첫걸음이기 때문이다.
대한응급학의사회는 30일 보건복지부 내년도 예산에서 응급의료를 비롯한 필수의료 예산이 증액돼 국무회의를 통과한 것에 적극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복지부는 지난 29일 내년도 예산이 122조4538억 원으로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보건의료 분야는 지역완결적 필수의료를 목표로 소아와 응급, 정신건강 등에 역점을 뒀다.
특히 응급의학의사회는 응급의료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중앙응급의료센터 운영지원과 인력확충을 위한 예산증액에 환영 입장을 밝혔다.
복지부는 중앙응급의료센터 운영지원 예산을 올 109억 원에서 내년 236억 원으로 두 배 이상 증액했다.
응급의학의사회는 "중앙응급의료센터가 리더십을 갖고 보다 적극적으로 응급의료전문가 의견수렴과 현장 요구를 적절히 수용하고 현실에 맞는 대책을 세울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중증응급질환별 최종치료 인력 지역 순환 당직비 지원 ▲응급의료 전달체계 시범사업 ▲광역상황실 신설 ▲응급의학 전문의 탑승 중증응급환자 전원 전용 구급차(MICU) 도입 등이 주요 사업으로 추진된다.
응급의학의사회는 또 최근 발의된 응급의료관리원 설립법에도 적극 찬성 입장을 밝혔다.
해당 응급의료법 개정안은 국회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이 지난 11일 발의했다.
중앙응급의료센터와 응급의료지원센터를 통합, 독립된 응급의료 컨트롤타워 조직을 신설하는 것이 골자다.
응급의학의사회는 코로나 팬데믹 시절부터 중앙응급의료센터 독립과 역할강화 등 응급의료 컨트롤타워 필요성을 지속 제기해왔다.
응급의료는 전문가적 입장에서 다수 전문과와 단체를 조율해야 하는 만큼 외부 영향으로 정책이 왜곡될 가능성이 높은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컨트롤 타워 부재로 현장 목소리가 적절히 반영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응급의학의사회는 "예산 증액 정도로 응급의료 전달체계 개편이나 지역완결적 필수의료, 소아응급의료체계가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국민 생명을 보호하는 필수의료 확충을 위한 예산 증액 기조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응급의료체계 발전을 위한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