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응급의학의사회 가입하기

로그인

응급의학과의사회 “필수의료 예산 증액 환영”

응급의료체계 발전 마중물 기대…전달체계 성공 개편 위해 적극 협력

【후생신보】  응급의학과의사회가 정부의 필수의료 예산 증액을 환영하고 나섰다. 응급의료 전달체계 개편이나 지역완결적 필수의료, 소아응급의료체계가 이정도만으로 해결 되기는 어렵겠지만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필수의료 확충을 위한 예산 증액의 기조가 향후 지속적으로 이어져 응급의료체계의 발전을 위한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했다.

 

대한응급의학과의사회(회장 이형민)는 30일 보건복지부의 2024 필수의료 예산증액 국무회의 통과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의사회는 “필수의료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수많은 논의가 있었음에도 아직까지 실질적인 해결책과 눈에 띄는 변화가 없었던 가장 큰 이유는 실질적인 개선과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예산투입을 통한 기본적인 시스템의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했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응급의료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운영지원과 인력확충을 위한 예산증액은 중앙응급의료센터가 리더십을 가지고 보다 적극적으로 응급의료전문가들의 의견수렴과 현장의 요구를 적절히 수용하고 현실에 맞는 대책을 세울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의사회는 또한 이에 앞서 최근 상정된 ‘한국응급의료관리원’ 설립과 관련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도 이같은 연장성에서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다.

 

의사회는 “코로나 판데믹 시절부터 응급의료의 컨트롤타워 부재와 정책들의 잘못된 방향성을 지속적으로 비판하고 대안으로 중앙응급의료센터의 독립과 역할강화를 주장해 왔다”며 “응급의료는 전문가적 입장에서 다수의 연관된 전문과들과 단체들을 조율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연관된 이해당사자들이 너무 많아서 외부 영향에 의해 정책이 왜곡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와함께 지금까지 응급의료정책들이 실패한 이유는 현장을 잘 모르는 다수의 이해당사자들에 의해 마련돼 실제 응급의료 현장의 전문가 의견은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의사회는 응급의료지원발전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응급실 과밀화문제와 취약지응급의료 문제 해결을 위해 워킹그룹, 급성기클리닉과 같은 시범사업들을 적극 제안하는 한편, 응급의료 전달체계 개편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무엇보다 먼저 응급의료진들의 법적 안정성이 조속히 확립될 수 있도록 중앙응급의료센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