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체계 붕괴 임박…노사·정부 긴급 협의체 가동해야”
보도
원내 의료진 감염 급증…병상 효율화 정책으로 일반환자도 감염 위험
“방역 완화 아닌 방역 ‘포기’…의료체계 붕괴 막기 위한 대책 필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로 의료체계 붕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보건의료 노동자들이 노사와 정부가 함께하는 긴급 협의체를 통해 이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20일 성명을 통해 “의료진이 줄줄이 감염되며 의료체계는 이미 붕괴상태로 접어들었다”며 “의료진 감염으로 진료·수술 예약이 취소되고, 병동을 축소해 환자들이 제대로 치료받지 못 하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보건의료노조는 “병원은 의료진 감염이 급증하자 의료진 격리 기간을 3일로 급작스럽게 변경했다“며 “확진된 의료진은 충분한 치료도 받지 못한 채 근무에 투입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확진된 의료진을 대체할 인력이 없어 코로나19 확진자가 환자들과 접촉하면서 근무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정부의 인력 갈아 넣기는 이미 임계점을 넘어섰고 의료인력 붕괴가 현실이 되고 있다. 지속 가능한 인력대응체계를 구축하지 않으면 의료체계 마비를 막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정부의 병상 효율화 정책과 의료 인력 부족으로 환자 관리가 제대로 되지 못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정부는 음압시설이 없는 일반병실에서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하고, 기저질환 확진자의 일반병상 입원을 지원하기 위한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코로나19 무증상·경증·중등중 환자를 일반병상에서 우선 진료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했지만, 실제로는 일반병상에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입원하고 있다”며 “하지만 이를 담당한 의료 인력이 부족해 환자들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의료체계의 붕괴를 막을 대책도 없이 성급하게 방역 완화에 나서고 있다고도 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의료역량의 한계로 병원은 위중증 환자를 더 받지 못하고 있고 중증도가 높아져도 이송할 수 없어 사망자가 늘어나는 가운데, 정부는 방역 완화대책만 쏟아내고 있다”며 “이에 의료진은 집단감염과 과부하에 내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조치는 방역 완화가 아닌 방역 포기”라며 “정부는 오미크론의 치명률이 낮다고 확진자 급증의 심각성을 망각해서는 안 된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성급하게 방역을 완화한다면 사상 초유의 의료체계 붕괴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에 보건의료노조는 정부에 의료기관 노사와 정부가 참여하는 긴급 협의체를 가동하고 의료체계 붕괴를 막기 위한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정부는 의료진 집단감염과 과부하로 인한 의료체계 붕괴를 막기 위해 의료기관 노사와 정부가 참가하는 긴급 협의체를 가동하고, 의료현장의 실정에 맞는 의료인력 보호 대책을 마련하라”고 했다.
이어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방치되고 있는 재택치료자에 대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라”며 “병원 내 집단감염을 막기 위해 코로나19 환자 관리대책과 원내 감염 예방조치를 재정비하고, 지속 가능한 의료인력 확보 대책을 마련하라”고 말했다.
한편, 보건의료노조는 오는 23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의료진 집단감염 실태 등 의료현장의 마비 상황을 증언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