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응급의학의사회 가입하기

로그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응급의료 현장 마비가 되풀이되자 의료진이 특단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12일 성명을 내고 "재유행에 안일하게 대응한 관계 당국에 유감을 표한다"면서 "지금이라도 현장의 의견에 귀 기울이고 성의 있는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감염병 유행 시 응급실 운영 권고안 2판'은 탁상공론에 불과하다면서 현재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면 단순 발열자와 경증확진자까지 응급실로 몰려 응급의료체계가 붕괴된다고 우려했다.  

따라서 응급진료를 환자와 병원 자율에 맡겨 '코로나19 이전 일상'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했다.

응급의학의사회는 "지금처럼 모든 발열환자와 고위험환자, 119를 통한 발열 환자를 음압실이나 격리실에서 보면 확진자가 늘 때마다 응급실이 마비되고 119는 갈 곳이 없어진다"고 지적했다.

응급의학의사회는 "이제 코로나19도 감기처럼 누구나 감염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면서 "일차 의료기관과 대면치료센터, 지역 내 응급의료기관이 단순발열과 경증확진자를 진료하도록 지원하고 독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코로나19 관리 체계를 효율화하지 않으면 응급의료 현장은 또다시 무너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사진은 지난해 12월 응급의학의사회가 열었던 긴급 기자회견 현장. 
코로나19 관리체계 효율화하고 중증환자에 집중을

코로나19 관리체계를 법정감염병 2급에 준하는 수준으로 전환해 효율성도 끌어올려야 한다고 했다.

응급의학의사회는 "코로나19 확진자라는 이유로 코피가 나거나 설사를 한다면서 상황실이 밤새 전화를 돌리는 것이 현실이다. 경미한 요구까지 상황실과 보건소가 조율하는 것은 행정력 낭비고 물리적으로도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중앙사고수습본부와 보건소가 담당하는 비효율적인 관리가 아니라 다른 2급 감염병인 결핵, 수두, 홍역처럼 해야 한다"면서 "119 지역 상황실과 전원조정센터는 고유 업무에 복귀해 중증응급환자 이송과 병원 선정에 집중해야 한다"고 했다.

코로나19 진료와 입원 수가를 인상하고 원내 감염 발생 시 보상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응급의료 현장에서 일하는 의료진을 위한 보상책도 요구했다.

응급의학의사회는 "확진자가 줄자마자 기다렸다는 듯이 전담병원과 병상, 진단에 대한 지원을 줄여서는 민간병원의 자발적인 협력을 다시 이끌어낼 수 없다"며 "코로나19나 발열 환자 진료와 입원시 불가피하게 원내 전파가 발생하면 진료비 감면과 보조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전체 응급의료진 70~80% 이상이 감염과 격리를 겪으며 의료현장을 지켰지만 실질적인 보상은 없었다. 많은 의료진이 지쳐 떠나고 있다"면서 "현실적인 보상책과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장기적인 계획이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근본적인 응급의료체계와 중증환체계,자이송 취약지 응급의료와 과밀화 문제 해결을 위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그렇지 않으면 "응급의료는 미래가 없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이번 유행이 끝나도 코로나19 사태가 끝나는 것은 아니다. 내년에 똑같은 실수와 비판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지금부터 모든 직역을 아우르는 응급의료체계 발전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출처 : 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