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응급의학의사회 가입하기

로그인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추석을 앞두고 명절 응급실 이용이 폭증하는 현상과 코로나 유행이 겹치며 응급의료 현장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병원이 없어 응급실로 몰리는 환자를 적절히 배분할 대응방안이 명절 전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5일 성명서를 통해 추석 응급의료기관 과밀화와 응급의료체계 붕괴를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응급의학의사회는 코로나 전에도 평소보다 증가한 환자로 어려움이 많았는데, 이번 추석은 코로나 확진자와 발열환자까지 더해져 혼란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연휴 기간 문을 열고 있다는 이유로 경증환자를 포함한 모든 의료수요가 응급실 현장으로 몰리게 되면 정작 응급진료가 필요한 중증 응급환자의 진료 대응능력은 떨어지게 된다는 것.

이에 따라 관계기관에는 경증 응급환자가 응급실이 아닌 지역 1차 의료기관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명절 응급실 환자 과밀화 가장 큰 원인은 경증환자가 갈 수 있는 의료기관이 없기 때문이다.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증상이 아닌 단순 발열, 복통, 설사, 열상, 염좌, 가벼운 사고 등은 대형병원 응급실이 아닌 지역의 1차 의료기관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코로나와 관련해서도 양성 환자 가운데 경증 환자가 이용할 수 있는 1차 의료기관을 미리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응급실 음압 격리실과 격리구역에서 모든 발열환자를 돌볼 수 없기 때문에 단순 발열과 경미한 증상은 1차 의료기관을 통한 대면이나 비대면 진료를 우선 이용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존에 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 차원에서는 연휴 전 미리 주치의와 상의해 치료 단절을 대비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국민 차원에서도 명절 응급실 환자를 크게 늘리는 원인인 과음과 과식을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평소와 다른 식습관은 복통, 설사 등 급성 위장관 증상을 유발하고 과음은 염좌, 타박, 골정 등을 초래한다는 지적이다.

응급의학의사회는 이 같은 대책과 함께 명절, 연휴 등 의료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 대한 근본적인 대응방안도 장기적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장기 응급의료계획에 명절이나 연휴 등 의료수요 증가 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이 들어가야 하며, 이를 위한 전문가 의견수렴 통로 마련을 촉구했다.

응급의학의사회 관계자는 "평소에도 응급의학 전문의는 연휴에 쉬지 못하고 과도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이번 명절은 코로나와 환절기 까지 겹쳐 더욱 우려된다"며 "실제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관계기관의 적극적 행동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