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응급의학의사회 가입하기

로그인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서울대병원과 아주대병원의 권역응급의료센터 재지정 탈락 배경을 놓고 의료계 비판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다.

이들 병원 모두 의료인력과 장비 등 지정기준은 최고 수준이나 응급환자 쏠림에 따른 병상 포화도와 재실시간 그리고 운영계획서 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받아 현장과 평가잣대의 괴리감이 드러났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6일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권역응급의료센터 재지정 평가결과, 서울 서북권 서울대병원과 경기 서남권 아주대병원 등 2곳이 탈락했다고 발표했다.

복지부 평가에서 서울대병원(왼쪽)과 아주대병원(오른쪽) 권역응급의료센터 재지정에서 탈락했다.

경기 서남권 2개소 중 아주대병원을 대신해 신규 대학병원 1곳이 신규 지정됐다.

권역응급의료센터 재지정 평가지표는 ▲시설과 장비, 인력 확보 ▲중증응급환자 분담률 및 구성비 ▲최종 치료 제공률 ▲병상포화지수 ▲중증응급환자 재실시간 등이다.

특히 권역응급의료센터 발전방안을 담은 운영계획서 평가 항목이 100점 중 50점으로 강화했다. 복지부는 평가지표에 입각한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를 종합해 결정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의료계 반응은 차갑다.

응급환자 쏠림이 가중된 병원 응급실과 평가지표의 괴리감이 크다는 것이다.

서울대병원과 아주대병원의 응급의학과 전문의와 간호사 등 의료진과 시설 및 장비, 중증환자 구성비는 최고 수준이다.

1일 200명 이상이 내원하는 이들 병원 응급실에서 최종치료 제공률과 병상 포화지수, 재실시간 등은 낮은 점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응급의사회 이형민 회장은 "복지부의 평가지표를 보면, 평가를 위한 평가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응급환자 밀려오는 상황에서 환자의 대기시간과 재실시간, 병상 포화지수 모두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운영계획서를 총점 절반으로 강화한 것도 이해할 수 없다. 권역응급의료센터 포장을 화려하게 하고 발표 잘하는 병원에 주고, 발표를 못하면 박한 점수를 주는 것이 타당한가"라고 반문했다.

특히 이국종 신드롬으로 응급과 외상 최고를 자임하는 아주대병원 탈락은 이외라는 반응이다.

서울대병원의 경우, 1개소 서울 서북권 경쟁자가 없는 상황에서 내년 상반기 중 재도전이 가능하다.

반면, 아주대병원은 2개소인 경기 서남권에서 기존 한림대 성심병원과 함께 다른 대학병원이 신규 지정되어 내년 1월부터 권역응급의료센터 간판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다.

■응급의료 자임 서울대·아주대 탈락 비판 고조 "평가를 위한 평가인가"

수도권 대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서울대병원 탈락은 예상했다. 수 백 명이 내원하는 상황에서 권역응급의료센터 역할이 힘든 게 현실"이라면서 "아주대병원 탈락은 의외이다. 이국종 여파는 차지하고 응급과 외상에 심혈을 기울인 병원 탈락은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복지부의 권역응급의료센터 재지정 평가 지표 항목.

아주대병원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한상욱 병원장(외과 교수)은 "권역응급의료센터 탈락 소식을 듣고 실망감이 크다. 경기는 물론 전국에서 몰려오는 중증 응급환자를 밤새워 치료해 온 의료진도 허탈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 병원장은 "다방면에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신규 병원이 지정된 만큼 내년부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 같다. 3년 후 재지정을 위해서는 병상 포화지수와 재실시간 등을 현재보다 개선해야 한다. 아주대병원을 믿고 오는 중증응급 환자를 돌려보낼 수도 없고 난감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재지정 결과에 대한 원칙론을 고수했다.

응급의료과 공무원은 "탈락한 서울대병원 권역은 신청병원이 없어 내년 상반기 중 재공모할 예정이다. 서울대병원 신청도 가능하다. 하지만 아주대병원은 신규 병원을 지정한 만큼 올해 연말까지만 권역응급의료센터 자격이 유지된다. 현재 경기 서남권에 대한 추가 공모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응급실 대표주자인 서울대병원과 아주대병원의 권역응급의료센터 탈락은 10월 복지부와 경기도 국정감사로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형국이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