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코로나19 대응 '막막'…"이대로면 다시 나서는 병원 없다"
응급의학의사회 "감염병 관리 상설기구 필요" 감염병 격리비용 지원 등 유인책 마련 요구
코로나19 거점전담병원 등이 올해까지만 운영되지만 그 이후 대응 계획이 부실해 의료 현장의 혼란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왔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3일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 및 창립총회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정책을 지적하며 이같이 말했다. 코로나19 거점전담병원과 전담병상 운영은 오는 12월 31일 일괄 종료된다.
응급의학의사회는 코로나19 환자를 일반 진료체계로 흡수하려면 의료기관들이 감염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는 수가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래야 코로나19 환자 진료를 기피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응급의학의사회 이의선 대외협력이사는 "코로나19 환자 수용과 진료 계획이 부재하면 이 환자들이 응급실에 쏟아질 수 있다"며 "결국 응급실 체류 시간이 증가하고, 환자가 누적돼 새로운 환자를 받지 못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외협력이사는 "코로나19 환자와 다른 응급환자들이 응급실을 찾지 못해 거리를 떠도는 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병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대외협력이사는 고위험군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재택 모니터링도 종료되면 응급상황 조기 인지·대응이 지연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재택 모니터링이 중단될 경우 고령 환자와 기저질환자가 경증으로 시작해 중증으로 악화된 상태에서 응급실로 올 수 있다"며 "정부이 전담병원을 지정할 수 없다고 한다면 입원, 시술 등에 필요한 감염병 격리비용을 충분히 지원해 주는 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대응 컨트롤타워도 유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사진출처: 청년의사).
이형민 회장은 "코로나9 상황은 언제든 악화 가능하고, 감염병 재난은 반복될 수 있다"며 "중앙사고수습본부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상설기구가 있어야 한다. 환자 입원과 전원을 담당할 수 있는 감염병 관리 상설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응급실 전원에 대한 수가 마련과 중앙응급의료센터 전원 조정상황실을 기능적으로나 물리적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이 회장은 "코로나19 델타 변이 유행 때 가산수가 등 지원을 통해 엄청나게 많은 확진자들이 병원으로 흡수돼 위기상황을 넘겼다"며 "아무런 보상이 없는 상태에서 모든 기구를 해체하고 없앤다면 앞으로 감염병 대응에 누가 나설 것인지 걱정된다"고 했다.
이 회장은 "감염 위험을 감수하고 최선을 다한 의료진과 의료기관들에 최소한의 도리를 해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출처 : 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