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학醫 "이태원 참사는 재난, 의료지원계획 등 마련해야"
심폐소생술 자격증 인센티브 등 3가지 방안 제안
대한응급의학의사회가 의료지원계획 마련과 응급처치 의무교육 실시, 재난대응 연구용역 확대 등 3가지 재난대응지침 방안을 제언했다(청년의사)
대한응급의학의사회가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인원이 많이 보이는 장소에는 의사를 포함한 의료지원이 이뤄지도록 하는 등 재난대응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은 3일 서대문구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 및 창립총회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지금은 책임소재와 잘잘못을 가릴 때가 아니다. 재난대응에 대한 평가와 분석은 전문가들에게 맡겨 주기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응급의학의사회는 재난 예방을 위해 정책당국에 ▲운동경기, 공연 등 다중의 인원이 모이는 곳에 의사를 포함한 의료지원계획 마련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자격증 국가공무원 의무교육 및 일반인 교육강화 ▲재난대응에 대한 국가 연구용역 확대·강화를 제안했다.
이 회장은 "재난 발생 이후 초기 적절한 대응이 의료진의 몫이라면 이를 준비하고 지원하는 일은 정책당국 책임"이라며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의무이자 책임은 국민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는 일이다. 반드시 현장 전문가들과 함께 (재난대응지침을) 만들어 가야 한다"고 했다.
이 회장은 "지금까지 반복되는 재난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한다면 이전까지의 연구 결과를 반성해봐야 한다"며 "빠르고 간단한 해결책은 없다. 지금부터라도 느리더라도 확실한 변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석재 홍보이사는 "다중이용시설이나 경기장, 스포츠 레저시설 등에서 지속적으로 안전사고와 인명사고가 발생했지만 적극적인 조치는 아직까지 없다"며 "안전진단과 재난대응 계획마련은 국민 생명을 보호하는 기본적 요소"라고 말했다.
심폐소생술 등 현장에서 발생한 아쉬운 응급처치 등을 고려해 심폐소생술 교육에 대한 인센티브 고려가 필요하다고 했다.
최 홍보이사는 "심폐소생술 자격증 취득과 유지자에 대한 보상이 없어 보급확대에 어려움이 있다"며 "캐나다 등 외국은 의료인뿐만 아니라 교사, 공무원 등 사회 필수 직종에서는 심폐소생술 자격증이 의무화된 경우가 많고 취업 인센티브를 주는 곳도 있다"고 했다.
최 홍보이사는 이어 "재난대응 대책마련을 위한 정부 연구용역을 확대 적용하고, 응급의료 전문가들에 의한 실질적인 재난대책을 마련해 시행해야한다"며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재난대응체계에 대한 냉철한 평가와 앞으로의 장기적인 계획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출처 : 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